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[파이썬 공부] 03. 파이썬 기본기 쌓기 - 자료형(숫자, 문자, boolean)
    공부이야기 2022. 3. 20. 23:04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오늘은 파이썬의 기초 중의 기초!

     

     

    자료형에 대해서 알아보려 합니다.

     

     

    정말 이해하기 쉽고

    따라 하기 쉬우니

    직접 해보시면서 따라와 보세요~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일단, 자료형은 3가지로 나뉠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숫자 / 문자열 / boolean

     

     

    하나씩 천천히 설명해드릴게요!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1. 숫자

     

    숫자형은 말 그대로 숫자를 활용한 방법인데요.

     

     

    print( )

     

     

    괄호 안에 숫자를 적어서 숫자 결과를 얻어내는 형식입니다.

     

    한 번 따라 해 보시겠어요?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1.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에 들어가셔서

     

     

    2. PythonWorkSpace 폴더에서 새 파일을 만들어줍니다.

     

     

    3. 파일명은 상관없지만 뒤에 꼭 .py 붙여주는 거 잊지 마세요!

    (저는 나도코딩님을 따라 파일명을 practice.py로 통일했습니다!)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그럼 이제 소스코드를 작성할 수 있게 되셨나요?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그 부분에 아래 사진처럼 작성해보세요!

     

    print(5)

    print(-10)

    print(3.14)

    print(1000)

     

    자유롭게 다른 숫자로 해보셔도 됩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정수, 음수, 소수 등 여러 가지 숫자를 넣어보신 후에

    오른쪽 상단에 있는 삼각형 모양의 실행 버튼(▷)을 클릭해주세요!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그러면 화면 아래에 터미널 창이 생기면서

    입력한 숫자가 출력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뿐만 아니라, 덧셈, 뺄셈, 곱셉 등 복잡한 연산도 시도해보세요.

     

     

    print(5+3)

    print(2*8)

    print(2*(3+1))

     

    다양한 연산을 시도해보세요. 

     

    오른쪽 상단에 있는 삼각형 모양의 실행 버튼(▷)을 클릭해주세요!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위 사진처럼 연산을 입력하게 되면

    그 값이 결과로 출력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2. 문자열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문자열도 말 그대로 문자를 출력하는 것인데요. 

     

     

    아까 숫자와 같이 또 다른 파일을 생성하셔도 되고

    숫자를 지우고 따라 하셔도 됩니다.

     

     

    print("풍선")

    print("나비")

    print("ㅋㅋㅋㅋㅋㅋㅋㅋ")

    print("ㅋ"*9)

     

     

    # 문자를 입력할 땐 괄호 안에 "큰 따옴표" 나, '작은따옴표'를 이용해서

    입력해주셔야 합니다.

     

     

    저와 똑같이 입력하셨다면,

    오른쪽 상단에 있는 삼각형 모양의 실행 버튼(▷)을 클릭해주세요!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아래 터미널 창에

    풍선, 나비, ㅋㅋㅋㅋㅋㅋㅋㅋ 이 출력되었고

    "ㅋ"*9이라고 입력한 것이 ㅋㅋㅋㅋㅋㅋㅋㅋㅋ으로

    출력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3. boolean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boolean(불리안)은 저도 처음 들어봤는데요.

    간단하게 참/거짓을 생각하시면 됩니다.

     

     

    내가 입력한 것이 참인지, 거짓인지에 대해

    출력해주는 것인데요.

     

     

    이것도 저를 따라서 해보시길 바랍니다.

     

     

    새 파일을 생성하시고,

     

     

    print(5>10)

    print(5<10)

    print(True)

    print(False)

    print(not True)

    print(not False)

    print(not (5>10))

     

     

    다 입력하셨다면,

    오른쪽 상단에 있는 삼각형 모양의 실행 버튼(▷)을 클릭해주세요!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터미널 창에

    참이면 True, 거짓이면 False가 출력되는 것을

   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숫자에 대해서 참인지 거짓인지는

    간단하게 출력하실 수 있는데요.

     

     

    print(5*10>=50)

     

     

    이런 식으로 좀 더 복잡하게 시도해보셔도 좋습니다.

    같거나 크다, 같거나 작다를 표시할 때는

    >=, <=을 사용하시면 됩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위 사진에서 확인하실 수 있으시겠지만,

    출력하실 연산 앞에 not 붙이면

    결과가 반대가 되겠죠??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그 점도 꼭 체크해주세요^^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
     

     

    오늘은 가장 기본이 되는 자료형에 대해

    알아보았는데요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따라 하기 너무너무 쉽지 않나요?

     

     

    저도 나도코딩님을 따라 하면서

    너무 쉽다고 느껴진 부분이니

    여러분도 따라 하시면서 기본기를 다져보세요!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오늘은 여기까지!

    다음 글을 기대해주세요~

     

     

    댓글

Designed by Tistory.